“인공지능(AI)은 미래의 ‘범용 기술’이 될 것입니다. “전송망이나 통신망과 같습니다.”
15일(현지시각) 미국 샌프란시스코 공항 옆 하얏트 호텔 연회장. 이날 이곳에서 한국투자공사(KIC)와 주샌프란시스코 총영사관이 공동 주최한 ‘기술투자전망’ 포럼에서 연설한 엔씨소프트 윤송이 최고전략책임자(CSO)는 ” 역사적으로 증기력이 전력으로 대체되고 현대적인 공장이 건설됐다”며 “보다시피 AI는 산업을 완전히 바꿀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나스닥 상장 100대 기업 대부분은 통신망 출현 이후 탄생한 ‘디지털 네이티브’ 기업들이고, 앞으로는 ‘AI 네이티브 기업’이 그 자리를 대신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포럼의 주제는 ‘향후 10년 벤처투자 유망분야와 전망’이었다. 윤 CSO와 함께 로스앤젤레스 최대 벤처캐피털(VC) 기업인 업프런트(Upfront)의 마크 서스터(Mark Suster) CEO, 실리콘밸리 VC인 제너럴 카탈리스트(General Catalyst)의 홀리 말로니(Holly Maloney) CEO, NEA의 릭(Rick) 등이 토론자로 참석했다. 46년의 역사. 두 대표 모두 ‘AI는 일시적 붐에 불과했던 블록체인, 메타버스와 달리 유망 미래 아이템’이라는 점에 동의했다.
수스터 CEO는 “’미래는 이미 도래했지만 고르게 분포되어 있지 않을 뿐이다’라는 말이 마음에 든다. 실제로 AI는 이미 현실이 되었습니다. “샌프란시스코 거리를 질주하는 로봇택시를 보세요.” 그는 “앞으로 AI 자동화를 활용하지 않는 기업은 다른 기업과의 생산율 경쟁에서 이길 수 없을 것”이라며 “AI는 한 분야만이 아닌 모든 분야에서 융합될 것”이라고 말했다. 양 대표도 “많은 산업 분야에서 업무 효율화가 매우 중요한 시기”라며 “앞으로는 AI가 진화해 초개인화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들은 투자 열기가 지나간 블록체인에 대해 다소 회의적인 시각을 공유했다. 서스터 CEO는 “블록체인은 최악의 데이터베이스이고, 분산 스토리지라는 개념 자체가 효율성 측면에서 엉망이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다만 ‘탈중앙화’는 의미가 있고, 적절하게 활용한 사례가 나온다면, 다시 주목받을 것” 했다. 윤 CSO는 “게임 업계에서는 AI를 활용해 게임 내 기본 캐릭터(NPC) 대화 생성을 자동화하는 등 실제로 AI의 활용처가 많다”고 말했다. 이어 “그렇게 블록체인은 실용성이 없어 다시 호황을 누릴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시간이 좀 걸릴 거예요.”
최근 미국과의 갈등으로 첨단기술 투자에 제약을 받고 있는 중국을 대체할 곳으로 한국도 선정됐다. 포럼 이후 기자들과 만난 수스터 CEO는 “한국은 이스라엘과 마찬가지로 ‘혁신 본능’을 가진 나라”라며 “현재 지정학적 갈등 속에서 미국은 한국과 더욱 긴밀히 단결하고, 일본, 대만 등이 기술 혁신으로 이어질 것”이라며 “투자 분야에서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한국 기업에 관심이 많지만 한국에서만 사업을 하는 스타트업에 투자할 생각은 없다”며 “한국 VC들보다 한국 사업에 대해 더 잘 알지 못하고, 거기도 있다”고 말했다. 경쟁이 아니다.” 했다. 이어 “처음부터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사업을 우선적으로 추진할 것이며, 미국 진출을 고려 중인 유망 스타트업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돕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포럼에는 실리콘밸리 벤처 관련 투자기관, 자산운용사, 기업벤처캐피탈(CVC) 등 국내 금융기관 투자 전문가와 스타트업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윤상수 총영사는 환영사에서 “이번 포럼은 한미동맹 70주년을 기념하고, 한국과 미국의 투자자 및 스타트업들이 향후 10년간 유망 벤처투자 전망을 논의하는 뜻깊은 기회이며, 이어 “앞으로도 글로벌 국제 금융투자 협력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