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가 자신의 현재 경력 데이터를 일정량 입력하고 10년 후의 미래에 대해 체계적이고 적절한 조언을 받을 수 있다면 어떨까요? (중략) 원티드 AI 매칭 서비스를 통해 채용기간과 광고비를 3분의 1로 줄여 채용에 따른 사회적, 국가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원티드 이복기 대표가 25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A홀에서 열린 ‘Job Tech Connecting Days’ 채용 브랜딩 행사에서 원티드의 비전과 회사의 지금까지의 성장 과정을 공개했다. ICT 페스티벌 ‘대한민국 디지털 미래혁신대전’과 연계해 진행되는 이번 채용행사에는 대중에게 사랑받는 다수의 테크 기업들이 참여해 기업문화, 인재상, 복지정책, 일하는 방식 등을 소개할 예정이다.
이날 오후 ‘에듀테크 기업이 그리는 일의 미래’ 세션에서 ‘사람은 모든 가능성을 원한다’라는 주제로 발표를 한 이 대표는 “2015년에 회사를 시작했다. 내가 모르는 것을 알고, 내가 할 수 없는 일을 해내는 사람들을 모아 스타트업 팀을 꾸렸다. 그는 두 달에 걸쳐 100여 개의 아이디어를 내놓았고, 대회 이후까지 살아남은 아이디어를 ‘원티드(Wanted)’라고 불렀다.
이 대표는 “원티드는 사용자 300만 명, 기업 2만5000개를 확보했으며, 매년 2배씩 성장하고 있으며, 2021년 코스닥에 상장했다”며 “과기부 모바일대상 최우수상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설명했다. 2016년에는 ICT, 2019년에는 중소벤처기업부 예비 유니콘으로 선정됐다”며 “채용을 시작으로 교육, 부업, HR SaaS, 글로벌 서비스 등을 하나씩 만들어 왔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원티드랩의 장점으로 AI 매칭을 꼽았다. 그는 “원티드랩은 약 500만명의 합격자에 대한 데이터를 축적했다. 그는 “30만 건까지 기계가 인간의 예측을 이기는 게 쉽지 않았지만 어느 순간 기계가 인간보다 훨씬 더 정확하게 예측했다”고 말했다. “채용기간과 광고비를 3분의 1로 줄여 채용에 따른 국가적, 사회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 일이 일어났습니다.”라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그는 “원티드 랩 매칭 UX는 AI가 예측한 합격률과 광고가 아닌 자신만의 채용 공고를 보여주는 전혀 다른 UX를 제공한다”며 “취업지원을 통해 연간 약 30여개의 교육 파트너와 6만명의 졸업생을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스템 채용 관련 교육(EAS).” 확보되었습니다. 이어 “맞춤형 AI 멘토링을 통해 취업 전 교육 단계부터 진로 여정도 돕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일정량의 경력 데이터를 입력해 10년 후 미래에 대한 체계적인 조언을 받을 수 있다면 어떨까”라고 말했다. 이어 “예를 들어 3년 경력의 파이썬 개발자가 경력 경력에 들어가면 AI 개발자, 데이터 과학자, 백엔드 엔지니어가 될 수 있다. “프로젝트 관리자, 기술 영업, CTO, 기업가 등 다양한 직업 옵션을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라고 그는 말했습니다.

이 대표는 “원티드는 체계적인 AI 진로 멘토를 통해 교육 혁신을 꾀한다”며 “초등학생과 중학생 자녀를 어떻게 키우고 어떤 경험을 주어야 할지 고민할 때 AI가 이야기를 들려준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대학생도 마찬가지다. 그는 “대학 진학을 할 때 했던 일이 많았지만, 앞으로 내가 꼭 활용하게 될 것이 무엇인지 데이터를 통해 알았다면 다른 선택을 했을 것”이라며 “퇴직 후에도 준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데이터.”
마지막으로 이 대표는 “현재 원티드랩의 주요 이용자는 20~40대이지만, 우리가 보는 미래는 모두가 원티드 이용자가 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 기사
질의응답 시간에 일자리 부침에 AI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묻는 질문에 이 대표는 “10년 후의 미래에 대한 답을 제시하기보다는 현재의 모습을 보여주며 앞으로 어떻게 될지 알려준다”고 답했다. 실시간으로 계속 변해요.”
또 진로 예측의 정확성을 어떻게 평가하느냐는 질문에 “우리는 예측의 정확성을 판단하지 않고 개인화에 중점을 둔다”며 “정확도는 70% 이상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