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균용 대법원장 후보가 육군사관학교 흉상 이전 논란을 촉발한 홍범도 장군에 대한 소신을 밝혔다. 그는 자산 보고서에서 가족의 비상장 주식을 누락한 것에 대해 사과했습니다.
이 후보는 지난 17일 국회에 제출한 답변서에서 “독립운동사에 족적을 남긴 사람”이라며 “1920년대 소련 공산당에 입당한 이력이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를 토대로 그의 업적을 폄하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앞서 국방부는 공산당 입당 이력이 있는 홍범도 장군의 흉상을 설치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한 뒤 육군사관학교 생도교육시설 ‘충무관’ 외부로 옮기기로 결정했다. 이에 대해 야당을 중심으로 기존 결정을 철회해야 한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이 후보는 사법부의 독립성과 중립성도 강조했다. 그는 “재판 결과가 정치계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특정 정치 세력이 판사의 정치적 중립성을 의심하거나 판결 취지를 왜곡하는 경우가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내 신념을 왜곡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압수수색영장 판사 대면심리제도 도입에 대해서는 “광범위한 압수수색에 대해 법원의 적절한 통제가 필요하다는 점에는 동의한다”면서도 “비밀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의견도 있다”고 말했다. 수사 방침을 위반할 수 있고, 조사가 지연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노출된.
교권회복 입법에 대해서는 “교사가 학교폭력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학부모 등으로부터 부당한 민형사상 책임을 지게 되는 현실을 고려해 교권회복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 깊이 동의한다”고 말했다. 사례.”
칼 찌르기 등 동기 없는 범죄에 대해서는 “양형 강화를 요구하는 국민들의 법적인 심정을 진지하게 들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범죄와 처벌, 책임의 균형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국민의 건전한 법의식을 양형기준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중형만이 범죄 예방의 유일한 해결책이 되어서는 안 된다”고 촉구했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문제에 대해서는 “방류로 인해 우리 국민들이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는 점을 잘 알고 있고 많은 공감이 있다”고 답했다. 강제징용 배상 문제에 대해서는 “2018년 대법원이 심의 끝에 전원일치로 결정한 취지를 존중한다”고 말했다.
처가가 운영하는 가족회사의 비상장 주식이 자산보고서에서 누락된 사실에 대해선 “비난을 겸허히 받아들이고 사과드린다”며 “어떤 상황이든 간에 결과적으로 대중의 기준에 부응하지 못한 점 깊이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했다. 그는 농지법 위반 비판과 부동산 투기 의혹에 대해 “이해하기 어렵다”고 반박했다.
이 후보의 인사청문회는 19일과 20일 국회에서 열린다. 둘째 날인 20일에는 증인신문과 증인신문이 진행된다. 임명동의안 검토경과보고서는 21일 오전 10시 회의에서 채택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