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일, 10월 4, 2023
Google search engine
Home자동화엑셈은 E2E 솔루션 '인터맥스'를 약 200개소에 공급하고 있다.

엑셈은 E2E 솔루션 ‘인터맥스’를 약 200개소에 공급하고 있다.


IT 성능관리 전문기업 엑셈이 자사의 엔드투엔드(E2E, End-to-End, Front to Back-End) 트랜잭션 추적 기반 애플리케이션 성능관리(APM) 솔루션 ‘인터맥스’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올해는 다양한 윈백과 번들링으로 지원됩니다. 이런 일이 계속해서 일어나고 있습니다.

15일 회사에 따르면 ‘인터맥스’는 E2E 전 분야를 관리하는 APM 솔루션으로 금융, 제조 등 200여개 기업체와 대규모 공공기관에 적용됐다. 특히 WAS, EUM, BTM 등 개별 영역의 애플리케이션 성능 관리에 중점을 둔 다른 솔루션과 달리 인터멕스는 최초 사용자부터 WEB까지 E2E 전 구간에 걸쳐 트랜잭션 단위로 트랜잭션을 추적할 수 있다. , WAS, TP, DB까지. 회사에서는 해결책이라고 설명했다.

인터맥스는 올해도 ‘순항 중’입니다. 국내 경쟁사뿐만 아니라 글로벌 대형 경쟁사 제품과 경쟁해 수주를 따내거나, 경쟁사 제품을 도입한 업체를 인터맥스로 교체하는 등 윈백 계약 사례가 지난해보다 많아졌다. 엑셈은 올해 글로벌 대형 경쟁사를 모두 제친 한 대형 금융사로부터 반응을 받아 “이전에는 확인이 어려웠던 업무 시스템의 성과를 개선하는 데 큰 도움이 됐고, 개선의 필요성을 크게 인식하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E2E 연계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겠습니다.” 그는 말했다. 아울러 계좌시스템의 주요 부문과 비대면 채널 모두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인터맥스를 선택한 1위 금융권 은행이 경쟁사 대비 우위를 점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고 덧붙였다.

엑셈이 준비한 ‘인터맥스’ 실시간 모니터링 화면

이 밖에도 대형 유통사와 대형 보험사는 클라우드 통합관제 솔루션 ‘클라우드MOA’, DBPM 솔루션 ‘맥스게이지’, 인터맥스 등 3가지 제품을 선보이며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통합 모니터링 환경을 구축하고 있다. 세워짐. 엑셈은 “올해 차세대 IT시스템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많은 기업과 기관이 새로운 E2E 기반 온프레미스 및 클라우드 통합 모니터링 방식을 채택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EXEM은 인터맥스가 쿠버네티스를 사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Openshift, AWS 등이 있으며, 클라우드 환경을 모니터링하는 것 외에도 CloudMoa와의 통합을 통해 복잡한 MSA 환경에 대한 E2E 상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도 시장 장점 중 하나입니다.

엑셈은 맥스게이지, 인터맥스, 클라우드모어를 묶음으로 다양한 기업, 보험사, 공공기관 등에 판매하기 위한 프리세일을 진행하고 있다. 연말까지 금융, 기업 중심의 차세대 사업이 다수 개발될 예정인 만큼 , 윈백(win-back), 번들링, 교차판매 전략을 구현하여 인터맥스의 주축인 E2E 연계 구축을 제안할 예정입니다.

모바일 앱 전 영역에 대한 성능 모니터링 솔루션 ‘인터맥스 포 모바일(InterMax for Mobile)’도 올해 주요 은행, 공기업, 대기업, 대학 등 다양한 분야의 신규 고객을 확보했다. ‘인터맥스 포 모바일(Intermax for Mobile)’은 인터멕스와 연동이 가능해지면서 인터맥스의 기존 고객 중 다수가 채택하고 있어 채택 기회가 늘어나고 있다.

EXEM은 최근 Intermax에 Python 언어 기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지원을 추가했습니다. 또한 로그 모니터링 기능을 강화해 로그 발생 이력과 동향을 파악하고, 더욱 다양한 로그 유형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이 이동 중이거나 공휴일에도 언제 어디서나 인터맥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휴대폰에서 실행되는 인터맥스 모바일 버전도 개발했습니다.

관련 기사

현재 엑셈은 지난 6월 출시한 풀스택 관측 솔루션 ‘데이터세이커(DataSaker)’ SaaS 제품에 이어 빌트인 제품을 개발 중이다. ‘데이터 세이커’는 온프레미스 및 클라우드 인프라부터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은 물론 쿠버네티스, 도커, 컨테이너 로그까지 통합 모니터링을 제공한다. 온프레미스(On-Premise)와 클라우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도입하는 기관 및 기업이 많아짐에 따라, 이를 타깃으로 한 통합 모니터링 내장 소프트웨어를 출시할 예정입니다.

엑셈 고평석 대표는 “엑셈의 기존 빌트인 포인트 모니터링 제품의 묶음판매 및 교차판매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 만큼, 엑셈이 22년간 쌓아온 모니터링 기술과 노하우를 총동원해 ‘엑셈’ 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데이터 세이커 내장형’으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어 “통합모니터링 시장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 ARTICLES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

- Advertisment -
Google search engine

Most Popular

Recent Comments